JavaScript

물음표 사용법

차차한 2024. 10. 11. 15:41

1. 삼항 연산자

자바스크립트에서 물음표를 쓸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

if (~~) else (~~) 구문을 삼항 연사자를 사용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if(foo){
	console.log("foo는 foo다");
}else{
	console.log("foo는 foo가 아니다");
}

if else에서 변수에 값을 넣어주거나 단순하게 처리를 할 때는 삼항 연산자를 사용해 더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console.log(foo ? "foo는 foo다" : "foo는 foo가 아니다");

 

2. 선택적 연결

객체를 사용할 때 속성이 undefined거나 null일 때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undefined를 리턴하게 한다.

var cont = {
	name : "foo",
    age  : 13
};

console.log(cont.name); //"foo"
console.log(cont?.gender); //undefined

 

3. 무효화 합체

왼쪽 값이 null 또는 undefined일 때 오른쪽 값을 출력한다

let num = 0;
console.log(num ?? 100); //0

num이라는 변수는 null이거나 undefined가 아니기 때문에 num을 리턴한다

 

비슷하게 생긴 걸로 ||가 있는데 사용법을 주의해야 한다

let num = 0;

console.log(num || 100); //100
console.log(num ?? 100); //0

|| 의 경우 왼쪽 항이 truthy한지 확인하고,

?? 의 경우는 왼쪽 항이 정의된(defined) 값인지 확인한다.

 

A || B 혹은 A ?? B 일 때 B를 출력하는 경우

|| null, undefiend, false, 0, ''(빈문자열)
?? null, undefiend

 

 

출처 : https://joylee-developer.tistory.com/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