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10)
차차로그

int a = 1; double b = 0.7; System.out.println(a-b); // 0.30000000000000004 위의 코드처럼 1에서 0.7을 빼면 0.3이 나와야하는데 결과는 '0.30000000000000004'이 나온다. 컴퓨터가 실수를 저장할 때 가수부와 지수부로 저장을 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오류다. 가수부와 지수부로 저장하는 방식은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이다! 실수는 고정소수점 표현방식과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이 있다. 고정소수점 표현 방식은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해 자리에 맞게 그대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7.625라는 실수를 2진수로 변환하면 111.101가 되는데 이것을 정수부, 소수부 자리에 맞게 그대로 입력한다. 부호비트는 양수면 0, 음수면 1을 넣는다. 이러한 고정소수..
HTML5에서 웹스토리지(로컬||세션스토리지) 탄생 : 쿠키의 단점을 보완해서 나옴 KEY : VALUE 형태로 이루어짐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 웹스토리지는 로컬에만 정보를 저장 ↔ 쿠키는 서버, 로컬에 정보를 저장함 장점 서버에 불필요하게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저장용량이 크다. (약 5MB, 브라우저마다 다름) 단점 HTML5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의 경우 사용 불가 로컬스토리지는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EX) 자동 로그인 저장 세션스토리지는 세션 종료 시 클라이언트 정보를 삭제 EX) 입력 폼 정보 저장, 비로그인 장바구니 쿠키의 특징 매 HTTP요청마다 포함되어 서버에 부담이 간다 쿠키의 저장용량이 작음 (약 4kb) 암호화가 존재하지 않아 사용자 정보 도난 위험이 있다

GET 서버에서 어떠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 GET으로 넘긴 값은 KEY:VALUE 로 전달되며 캐시에 저장 : 재요청을 할 때 속도가 빠름 GET요청은 길이 제한이 있음 URL에 값이 포함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POST에 비해 보안에 취약 네이버 검색창에서 'GET'을 검색했을 때 보이는 URL url?key1=value1&key2=value2&key3=value3&query=GET 의 형태로 넘어간다. POST 서버에 정보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되는 메소드 전송데이터를 HTTP 메시지의 BODY 부분에 담아 보냄 : URL노출 X 캐시에 저장되지 않음 보낼 수 있는 길이 제한이 없음 GET방식보다는 보안적이지만 완벽히 데이터가 보안되는 것이 아님 : 암호화 필요 네이버에서 ID..
웹 접근성 모든 사용자가 신체적/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신체적 조건 : 일반 사용자, 장애인, 고령자 환경적 조건 : 다양한 기기(PC, Mobile), OS, 웹 브라우저, 인터넷 속도 기대효과 사용자 층의 확대 규정과 법적 요구사항 준수 다양한 환경과 기기에서 이용 개발 및 운용의 효율성 재고 사회 공헌 및 복지 기업으로서의 기업 이미지 향상 웹 표준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 W3C의 토론을 통해 나온 권고안을 바탕으로 정해짐 웹 접근성의 수준을 보장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